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아두면 더 즐거운 여행! 웃음 터지는 제주도 사투리 모음

by 파발이 2025. 4. 5.
반응형

제주도는 아름다운 자연경관만큼이나 독특한 언어문화로도 유명합니다. 특히 제주도 사투리는 육지 사람들에게는 생소하면서도 정감 가득한 매력을 지니고 있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여행 중 들으면 피식 웃게 되는 재미있는 제주도 사투리들을 소개해드릴게요. 제주도민만의 감성과 생활이 녹아 있는 표현들을 알아두면, 현지 사람들과 더 친밀하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 사투리 10가지 표현을 소개하는 알록달록한 일러스트 포스터. 각 사투리 단어와 의미가 귀여운 그림과 함께 표현되어 있음.
제주도 사투리

사투리는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그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담고 있는 살아 있는 이야기입니다. 제주도 사투리는 특히 남다른 문법 구조와 어휘를 가지고 있어서 "제주어"라고 따로 불리기도 할 정도죠.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1. "혼저 옵서예" – 어서 오세요

제주도에 처음 도착해 공항에서부터 많이 듣게 되는 말입니다. "혼저"는 ‘빨리’, ‘어서’, “옵서예”는 ‘오세요’라는 뜻으로, 합치면 “어서 오세요”라는 뜻이 됩니다. 따뜻하고 다정한 환영 인사죠.

2. "멩질멩질하다" – 매끈하다, 미끄럽다

무언가를 만졌을 때 느낌이 부드럽고 매끈하다면 제주에서는 "멩질멩질하다"고 표현합니다. 예: “이 수박 겉이 멩질멩질허네~”

3. "거멍" – 그늘

"거멍"은 제주도 방언으로 ‘그늘’을 뜻합니다. 무더운 여름날, "거멍 좀 지지게"라 하면 “그늘에서 좀 쉬자”는 말이에요. 시원한 느낌이 그대로 전해지는 단어죠.

4. "하영" – 많이

제주도에서 "많이"를 뜻하는 단어는 "하영"입니다. 예를 들어 "밥 하영 먹엉"은 “밥 많이 먹어”라는 의미예요. 여행지에서 맛있는 걸 많이 먹을 땐 이 표현을 꼭 써보세요!

5. "물허벅" – 물동이

제주도 전통문화 중 하나인 ‘물허벅’은 여성들이 머리에 이고 물을 길어 나를 때 사용하던 물통입니다. 이 단어 하나에 제주도의 옛날 삶과 풍경이 담겨 있죠.

 

 

6. "곤밥" – 주먹밥

곤밥은 ‘작게 뭉친 밥’ 혹은 ‘주먹밥’의 제주식 표현이에요. 예전 농사일 나갈 때 도시락 대신 곤밥을 싸 들고 다니던 전통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7. "좀녀" – 해녀

해녀는 제주도의 상징이기도 하죠. 이들을 제주에서는 ‘좀녀’라고 부릅니다. 생업을 위해 물질을 하며 강인한 삶을 살아온 제주 여성의 대명사입니다.

8. "도르멍 쉬멍" – 돌면서 쉬면서

천천히, 여유롭게 돌아다닌다는 뜻의 표현입니다. 제주 여행의 핵심 키워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도르멍 쉬멍 여행 해라~”는 말, 어디서 들리면 정말 기분 좋아집니다.

9. "누게" – 누구

“누게 왔수과?” 하면 “누가 왔어요?”라는 말이에요. 뉘앙스가 재미있어서 따라 하고 싶어지는 표현이죠.

10. "우째 곱다게!" – 어쩜 이렇게 예쁘냐!

예쁜 풍경을 보거나 귀여운 아기를 봤을 때 제주도 어르신들이 자주 쓰는 말이에요. 말투 하나만으로도 감탄이 살아 있죠.

 

 

제주도 사투리 활용 팁!

  • 현지인과의 거리 좁히기: 사투리를 한두 마디라도 따라 하면 현지인이 더 반가워합니다.
  • 사진 캡션이나 SNS 해시태그: 여행 사진에 사투리를 활용해 색다른 느낌을 줄 수 있어요.
  • 기념품 쇼핑: 사투리가 적힌 엽서나 굿즈도 인기가 많습니다.

결론: 언어로 느끼는 진짜 제주

사투리는 단순한 말이 아니라 문화이고 정서입니다. 제주의 사투리를 알게 되면 그만큼 제주라는 섬이 더 입체적으로 다가옵니다. 다음번 제주 여행에서는 이 사투리들을 한두 개라도 직접 써보세요. 분명히 여행의 재미와 깊이가 달라질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