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망 후 유족이 반드시 처리해야 할 행정 절차를 체크리스트로 정리. 사망신고부터 명의 변경, 연금, 금융정리까지 모두 확인하세요.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낸 뒤, 유족은 깊은 슬픔에 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처리해야 할 행정적 절차가 다수 존재합니다. 일정 기한 내에 처리하지 않으면 법적 불이익이나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망 후 필요한 모든 절차를 체크리스트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1. 사망신고 및 공적 기록 정리
- 사망신고: 주민센터에서 1개월 이내 접수 (사망진단서 지참)
- 가족관계등록부 정리: 사망자 기록 말소
- 주민등록 말소 및 건강보험 자격 상실

2. 금융기관 처리
- 계좌 동결: 사망 사실 통보 시 자동 동결
- 자동이체 및 신용카드 해지 요청
-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서비스 신청
3. 보험금 및 장례비 수령
- 생명보험금 청구: 사망진단서 및 가족관계서류 제출
- 건강보험공단 장례비 청구 (일부 해당자)
4. 상속 재산 확인 및 선택
-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주식 등 조회
-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 결정 (3개월 이내)
- 법원 제출 서류: 상속포기/한정승인 신청서, 인감, 재산목록
5. 명의 변경 절차
- 부동산 등기소에서 상속등기 신청
- 자동차 등록 사업소에서 명의변경
- 보험/예금 명의변경 또는 해지 신청
6. 국민연금 유족연금 및 기타 수당
- 국민연금공단 유족연금 청구
- 고용주 퇴직금 수령
7. 디지털 자산 정리
- 카카오톡, 이메일, SNS 등 계정 삭제/기념 전환 요청
- 각 플랫폼에 사망 확인 서류 제출
8. 감사 인사 및 후속 장례 절차
- 조문객에 대한 감사 인사 (문자, 전화, 감사장 등)
- 49재, 유품 정리 등 종교·가정적 절차
사망 후 행정 절차 요약 체크리스트
- ✅ 사망신고 및 가족관계 정리
- ✅ 금융 및 카드 정지
- ✅ 보험금 청구
- ✅ 상속 재산 조회 및 결정
- ✅ 명의 변경 처리
- ✅ 연금 및 수당 신청
- ✅ 디지털 자산 정리
- ✅ 감사 인사와 정서적 정리
사망 후의 행정 절차는 유족의 슬픔을 덜기보다는 오히려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럴수록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정리된 목록을 출력해두고 하나씩 처리해 나가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추천합니다.
반응형